SEOUL JAEIL HOSPITAL

관절내시경

고객중심의 차별화된 의료서비스

관절내시경이란?

초소형 카메라와 초소형 레이저 수술기구가 들어있는 가는 관을 어깨관절이나, 무릎관절, 발목관절 내부로 삽입을 하여 관절속의 손상부위를 진단하고 치료를 하며 손상부위가 확인이 되면 바로 간단한 수술기구를 내시경 주위에 넣어 이물질 및 손상부위를 즉시 제거를 할 수 있는 치료방법입니다.

/_files/6zSU5skDJ.png /_files/6zSU5FMTR.png

관절내시경의 특징

관절내시경은 최근 늘어나는 스포츠 손상과 함께 널리 시행되는 수술 중 하나로 무릎 뿐만 아니라 어깨, 팔꿈치, 손목, 허리, 발목, 발가락 관절까지 관절 내시경 치료가 가능합니다

  • 1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진단과 동시에 수출이 가능합니다.

  • 2

    모니터를 통해 병변을 직접 눈으로 보고 판단합니다

  • 3

    병변 및 수술과정을 TV를 통하여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합니다.

무릎관절내시경 수술이 적용되는 질환



  • 퇴행성 관절염
  •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점진적인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관절내시경으로 관절 내에 퇴행으로 손상된 부분만을 제거하고 다듬어 새로운 골질과 연골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합니다
  • 십자인대파열
  • 한번 끊어진 십자인대의 경우 자연치유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수술을 통해 치료해야 합니다.
  • 반월상연골파열
  • 무릎관절 사이에는 2개의 반월상 연골판이라고 하는 쿠션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연골판은 무릎 관절이 상하지 않도록 충격완화를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강한 연골판이라도 강한 충격에는 찢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조기에 치료를 받지 않으면 무릎 관절내의연골까지 손상될 수 있어 적절한 치료를 받는것이 중요합니다
  • 측부인대손상
  • 측부인대는 무릎 양옆을 지탱하며 안정성을 유지해주는 인대입니다. 스포츠 활동이나 외상으로 인해 측부인대가 손상되면 무릎이 흔들리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손상 정도가 심하거나 다른 인대, 연골 손상과 동반된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을 통한 정밀한 진단과 봉합, 재건술이 필요합니다.
  • 연골연화증
  • 연골연화증은 무릎 관절의 연골이 반복된 자극이나 부하로 인해 부드러워지고 닳아 통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약물치료나 재활치료로 호전될 수 있지만, 연골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 관절내시경을 통해 손상 부위를 다듬고 필요 시 연골재생술을 시행하여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을 돕습니다.

관절내시경
적응증
  • 관절에 물이 차는 경우 (주로 무릎)
  • 양반다리를 했을 때, 무릎 안쪽에 통증이 발생하거나 어긋난 느낌이 있는 경우
  • 무릎 뒤 오금이 당기거나 잘 펴지지 않는 경우
  • 걸을 때, 무릎에 피로감이나 통증을 느끼는 경우
  • 평소 무릎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
  • 무릎에 하중이 많이 가는 일을 하는 경우

관절내시경 장점

  • 1

    수술 절개 부위가 작아 빠른 시간 내에 일상 생활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

  • 2

    수술 후 통증이 적습니다.

  • 3

    카메라를 통해 관절 속을 직접 보는 것이므로 진단이 정확합니다.

  • 4

    진단과 수술이 동시에 가능합니다.

  • 5

    출혈이 적고, 감염의 위험이 적습니다.

  • 6

    입원 기간과 비용이 줄어듭니다.

관절내시경 주의사항


- 상처감염의 우려가 있어 뜨거운 열기는 수술부위에 피하셔야 합니다.

- 수술 후 움직임이 없다면 수술관절이 굳게 되어 잘 움직이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규칙적인 운동과 활동을 꼭 하셔야 합니다.

- 상처 회복을 위한 충분한 영양분 섭취와 적당한 영양식을 드셔야 합니다.

- 실밥을 제거한 후에는 상처에 따라 목욕이 가능하지만 목욕 시에는 흐르는 물에서 하시고 감염의 우려가 있으니 물속에 오래 담그시면 안됩니다.

- 수술 후에는 무리한 운동을 피하여 본인에게 맞는 운동으로 점자적으로 증감시키며 운동하셔야 합니다.


석회성건염이란?

석회화 건염(calcific tendinitis)은 건(힘줄) 조직에 석회가 침착되고, 이 때문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석회가 건 조직에 침착되는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석회화 건염은 견관절 주변 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간혹 건에 석회가 침착되어 있어도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장기간에 걸쳐서 석회가 서서히 흡수되어 70세 이상의 연령에서는 석회가 발견되는 일이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어 대체적으로 자연 치유되는 질환으로 여겨지고 있다.

/_files/6zSYTXhB1.png /_files/6zSYUpyJu.png

석회성건염 증상

  • 1

    밤에 잠을 이루기 힘들정도로 어깨통증이 극심한데 비해 낮에는 통증이 덜하다.

  • 2

    팔이 쿡쿡 쑤시거나 찌르는 듯한 날카로운 통증이 느껴진다.

  • 3

    가슴통증이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이 반복된다.

  • 4

    팔을 앞이나 옆으로 들어올리기 힘들다.

  • 5

    출혈이 적고, 감염의 위험이 적습니다.

  • 6

    입원 기간과 비용이 줄어듭니다.

석회성건염 원인

/_files/6zSZIHjEQ.png /_files/6zSZIZ-pt.png

회전근개파열이란?

회전근개근육은 어깨주위 근육 가운데 관절을 싸고 있는 4개의 근육을 말하며 회전근개질환은 어깨에 발생하는 만성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회전근개의 염증, 퇴화 혹은 파열때문에 증상이 초래된 상태를 말합니다.

회전근개파열 증상

40세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서 노령이 될수록 전층파열의 빈도가 점차 증가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심각한 손상후에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에 손상이 없거나 경미한 손상 후 증상이 나타납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어깨의 통증이며, 흔히 팔 위쪽의 삼각근 부위에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앉거나 서면 통증이 감소하고 누운자세에서 통증이 심해지는 야간통의 양상을 보여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임상검사, 관절조영술, 초음파검사,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진단하며 회전근개전층 파열을 방치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견관절 파괴로 이어 질 수 있습니다.

치료원칙은 통증을 감소시키고, 회전근개의 기능을 회복시켜 어깨관절의 기능을 향상 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외상의 유무, 나이, 근육손상의 정도 및 위치에 따라서 비수술적, 수술적 치료를 결정하게 됩니다.

회전근개파열 원인

/_files/6zT3VJle9.png /_files/6zT3V_P7h.png

회전근개파열 치료

비수술적 치료

  • 비스테로이드성 진통 소염제, 스테로이드계 약물 주입, 물리치료

수술적 치료

  • 보전적 치료 수개원간 유지 후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을시 손을 짚고 넘어진 후에 발생한 외상성 전층 파열은 빠른 수술이 필요하다.

/_files/6zT4SXEnx.png /_files/6zT4p_uga.png